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는 경상 누층군의 낙동층 중부에 해당하는 퇴적층으로, 나무고사리 화석을 비롯하여 다양한 화석이 산출되는 곳이다. 이 지역의 낙동층은 렌즈상 층리를 이루며 역질조립사암, 세립사암, 실트스톤, 셰일질이암 등 다양한 퇴적상을 보인다. 오구라는 금무산 일대에서 나무고사리 화석과 목재화석 Xenoxylon latiporosum을 발견했으며, 정은경 외는 왜관읍 금무산에서 동일한 목재화석을 채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곡군의 문화유산 - 칠곡 가산산성
칠곡 가산산성은 조선 시대에 축조되어 내성, 중성, 외성의 삼중 구조를 갖춘 국방 요충지이며, 가산바위가 위치한 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 칠곡군의 문화유산 - 칠곡 왜관성당
독일인 신부 알빈 슈미트가 설계한 칠곡 왜관성당은 당시 주류 양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공간 구성이 특징이며, 설계 도면과 함께 보존되어 건축사적 가치를 지니지만 습기로 인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 칠곡군의 지리 - 한티재
한티재는 경상북도 안동시, 영양군, 포항시, 대구광역시 군위군/경상북도 칠곡군 등 여러 지역에 위치하며, 중앙고속도로, 국도, 터널 등이 지나는 고개들을 지칭한다. - 칠곡군의 지리 - 금오산 (경북)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한 금오산은 현월봉, 약사봉 등 다양한 봉우리와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FM 라디오, 지상파 DMB, 디지털 TV 방송을 송출한다. - 경상북도의 천연기념물 - 동경이
동경이는 꼬리가 없거나 짧은 한국 토종견으로, 진돗개와 공통 조상을 가지며 옛 문헌에도 기록되어 있고, 일제강점기 대량 도살 후 품종 보존 노력으로 천연기념물이 되었으며, 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가 보존 활동을 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천연기념물 - 삽살개
삽살개는 삼국시대부터 한국인의 삶과 함께 해온 토종견으로, 악귀를 쫓는다는 의미를 지닌 다양한 별칭으로 불리며 사랑받았으나 일제강점기에 멸종 위기를 겪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현재는 가정견 및 치료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 |
지정 번호 | 천연기념물 146호 |
지정일 | 1962년 12월 3일 |
면적 | 1,579,586m² (지정 구역) |
위치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 산28-3 |
시대 | 중생대 백악기 |
문화재청 ID | 16,01460000,37 |
2. 지질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에는 경상 누층군 최하부 지층 낙동층 중부에 해당하는 퇴적층이 분포한다. 이 퇴적층은 북동 45° 주향, 남동 20° 내외 경사를 가지며 띠 모양으로 분포한다.[1][2]
2. 1. 낙동층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에는 경상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인 낙동층이 분포한다. 낙동층은 렌즈상 층리를 이루며 다양한 퇴적상을 보인다. 이 지역의 낙동층에서는 나무고사리화석 외에도 양치류, 구과류, 이매패류, 복족류, 공룡 뼈 화석 등이 산출된다.[1][2] 오구라(小倉; Ogura, 1927, 1941, 1944)는 금무산 일대에서 나무고사리 화석을 찾고 목재화석 Xenoxylon latiporosum영어 (Cramer) Gothan을 발견하였다. 정은경 외(2012)는 왜관읍 금무산에 대한 야외조사를 통해 목재화석 1개체를 채집하였고 이는 목재화석 Xenoxylon latiporosum영어 (Cramer) Gothan으로 확인되었다.[3]2. 1. 1. 퇴적상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에는 경상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인 낙동층 중부에 해당하는 퇴적층이 분포한다. 이 퇴적층은 대체로 북동 45° 주향과 남동 20° 내외의 경사를 가진다. 이 지역의 낙동층은 렌즈상 층리를 보이며, 역질조립사암, 세립사암, 실트스톤, 셰일질이암 등 다양한 퇴적상이 나타난다.[1][2]2. 1. 2. 화석 산출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에는 경상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인 '''낙동층'''의 중부에 해당하는 퇴적층이 대체로 북동 45°의 주향과 남동 20° 내외의 경사를 가지며 대상 분포한다. 이 지역의 낙동층은 렌즈상 층리를 이루며 역질조립사암, 세립사암, 실트스톤, 셰일질이암 등 다양한 퇴적상이 나타난다. 이 지역의 낙동층에서는 나무고사리화석 이외에도 양치류, 구과류, 이매패류, 복족류, 공룡 뼈 화석 등이 산출된다.[1][2] 오구라(1927, 1941, 1944)는 금무산 일대에서 나무고사리 화석을 찾고 목재화석 ''Xenoxylon latiporosum'' (Cramer) Gothan을 발견하였다. 정은경 외(2012)는 왜관읍 금무산에 대한 야외조사를 통하여 목재화석 1개체를 채집하였고 이는 목재화석 ''Xenoxylon latiporosum'' (Cramer) Gothan으로 확인되었다.[3]참조
[1]
서적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7-11
[2]
웹인용
천연기념물 제146호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의 낙동층 - 퇴적상과 퇴적환경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14-10
[3]
웹인용
왜관 금무산 일대에서 산출된 식물화석에 대한 고찰: Ogura의 Xenoxylon 표본의 재검토 (Petrified plant remains from the Mt. Geummusan, Waegwan : including re-examination Ogura's specimens of Xenoxylon)
https://www.gskorea.[...]
2012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
20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